본문 바로가기

5도2촌/주말농장

콘센트타이머/전기타이머

한번 써보면 계속 쓸데가 보이는 타이머

올해는 애지중지 키우는 밭작물 들에게 새벽 물을 꼭 주겠다는 목표가 있어요.

근데, 아침잠이 워낙 많은건지, 게으른건지....

새벽에 일어나서 모터 켜서 스프링쿨러 틀어주기만 하면 되는데 이 쉬운게 안되네요.

그래서 이번에 전기 타이머를 세팅하고, 사용법을 정리해 봅니다.

(엄마가 알아들을수 있는 수준이니 찬찬히 해보세요)


생김새:

전선을 짤라서 연결하는 방식도 있지만, 일단 쉬운 콘센트에 꼽는 타입의 예시 입니다.

이 제품은 "매일", "정해진 시간동안" 전기를 켜주고, 그 외 시간에는 전기를 꺼주는 제품 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
하지만 항상 전기를 켜주는 옵션(항상 전기 켜짐 모드)도 있습니다.

두 제품다 신성계전이라는 회사 제품이고,

왼쪽(SST-16C)은 좀 좋아보이니깐 대략 14000원 정도, 오른쪽(SST-800) 제품은 한 9000원 정도 합니다.

왼쪽 제품 구매: https://seohyogi.tistory.com/78

오른쪽 제품 구매: https://seohyogi.tistory.com/79

순서

1. 세팅준비

2. 제품구성 설명

3. 세팅하기

1. 세팅 준비

1) 현재시간: 예시) 23시 01분

2) 내가 동작(On) 하고 싶은 시간

예시) 23시30분 ~ 23시50분

2. 제품구성

[0]: on: 항상 켜짐, auto: 타이머 모드

[1]: 현재시간 (다이얼을 돌리며 시간을 맞춤, 마치 건전지 이제 막 바꾼 시계처럼)

[2]: 타이머를 키고 싶은, 원하는 시간

[3]: 원하는 시간대의 회색버튼을 밖으로 밀수 있음.

(이제품 기준, 1시간을 6개 등분, 즉 10분씩 제어가 가능한 모델)

자 근데, 방금전에 제품구성의 사진에서

현재 시각은 23시 인데, 타이머는 11시로 되어있죠? 잘못된겁니다!

Cf. 갖고 계신 제품이 시분초가 없으신 경우!

이렇게 생긴 제품이라면 우측상단의 빨간 기준점에다 현재 시간을 맞추시면 됩니다.(SST-800 은 저렴하게 만든 제품이라 시분침을 뺀 모델이에요! 그리고 1시간을 4등분 한 15분씩 제어하는 모델입니다.)

3. 세팅하기

제가 세팅을 시작한 시각은 23시이고,

타이머를 키고 싶은 시각은 23시 30분~ 24시 00분이라고 생각해볼께요.

이렇게 회색 버튼을 바깥쪽으로 밀어두면 됩니다.

그리고 잊지 마셔야할것은 on/auto 버튼을 auto! 로

세팅이 끝났으니 콘센트에 꼽아서 전기가 들어오는지아닌지, 원하는 시간에 켜지는지 안켜지는지 한번 보시죠.

디지털 시계를 꼽아뒀는데, 불이 안들어오네요. 콘센트가 off 상태 입니다.

참. sst-16c 제품은 콘센트에 타이머를 꼽아두기만 해도 우측상단의 빨간불이 들어옵니다. 타이머 on/off 의 의미가 아님!!

23시 30분이 되자 타이머가 on 되어 시계가 켜졌네요.

SST-16(왼쪽) 제품의 빨간불의 의미: 타이머가 콘센트에 꼽혀있다!

SST-800(오른쪽) 제품의 빨간불의 의미: 타이머가 on 상태로 전기가 연결되었다!

라는 점을 참고하세요.

사실 이 타이머는 예전부터 종종 사용해봤던 제품입니다.

예전에, 불꺼진 집에 들어가는 기분이 싫어서 스탠드에 타이머 연결해놓고 때되면 등이 켜지게 해둔적도 있고...

(사실 요즘은 홈IOT 로 많이 좋아지긴 했죠)

60대 어렵지 않게 세팅할수 있으니 해보시고 막히는 부분있으면 말씀해주세요. 최대한 빨리 코멘트 드릴께요.

#SST16C, #SST800, #전기스위치, #전기타이머, #주니퍼가든, #전기자동화, #콘센트타이머